HOME > Analysis > 항공 (1,305)
-
2024년 전 세계에서 가장 붐비는 국내선은?지난해 세계에서 가장 붐빈 국내선 노선이 한국 김포~제주 노선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가 발표한 ‘2024 세계항공운송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가장 붐빈 항공 노선은 김포~제주 노선으로 약 1320만명의 여객이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위인 일본의 하네다(도쿄)~삿포로 노선의 약 920만명보다 약 400만명 많은 수준이다. 세계에서 가장 붐빈 노선 10개 중 9개가 아시아 · 태평양에 있었다. 3위는 900만명이 이용한 도쿄~후쿠오카 노선이었다. 이어 4위 하노이~호치민(8..

-
‘부산 출발’ 中구이린 여행에어부산이 중국 구이린 노선 부정기편 운항에 나서며 이용객들에게 새로운 여행지를 제공한다. 에어부산은 부산~구이린 노선 부정기편을 이달 29일부터 12월 20일까지 주 2회(수 · 토요일) 운항한다. 에어부산 부산~구이린 노선 운항 일정은 김해국제공항에서 오후 10시에 출발해 다음날 오전 0시 50분에 현지에 도착한다. 귀국 항공편은 현지 공항에서 오전 2시에 출발해 같은 날 오전 6시45분에 김해국제공항에 도착하는 일정이다. ..
-
KLM네덜란드항공, 무료 클래식 콘서트KLM 네덜란드 항공(이하 ‘KLM’)이 내달 2일 시민들이 도심 속에서 세계 최정상 오케스트라의 연주를 즐길 수 있도록 서울야외도서관–책읽는 서울광장에서 로열 콘세르트헤바우 오케스트라 4인조 앙상블과 미니 콘서트를 개최한다. 1888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창단된 로열 콘세르트헤바우 오케스트라는 135년의 역사를 지닌 세계 최고의 오케스트라 중 하나로, 특유의 독창적인 음색과 뛰어난 퍼포먼스로 유명하다. KLM과 로열 콘세르트헤바우 오케스트라는 대중들이 클래식을 보다 쉽고 친..

-
세부퍼시픽항공, 성수동에 팝업스토어 운영세부퍼시픽항공이 서울 성수동에서 ‘세부퍼시픽 해피 스토어’를 운영한다. 이번 팝업스토어는 서울 성수역 3번 출구 인근에 위치한 ‘성수 틸테이블’에서 오는 29일까지, 매일 오후 12시부터 7시까지 운영된다. ‘세부퍼시픽 해피 스토어’는 클락, 팔라완, 보라카이, 세부, 마닐라 등 필리핀의 대표 여행지를 테마로 한 체험형 공간으로, 다섯 개의 공간에서는 포토존, 퀴즈 이벤트, 다양한 액티비티 체험 ..
-
진에어, 국내선도 ‘묶음할인 3종’진에어가 국제선에서 운영하고 있는 묶음 할인 부가서비스를 국내선으로 확대 운영한다. 묶음 할인은 좌석이나 수하물 등을 함께 구매하면 개별 구매보다 더 큰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부가서비스다. 새롭게 국내선에서 이용 가능한 묶음 할인은 ‘좌석팩’, ‘수하물팩’, ‘골프팩 베이직’ 3종으로 국내선 탑승객들의 선호도를 고려해 선정됐다. 좌석팩은 전 좌석 사전 지정 혜택과 우선 수하물 1개를 이용할 수 있고, 수하물팩은 초과 위탁 수하물 5kg과 일부 좌석..

-
진에어, ‘세부/보홀/클락’ 프로모션진에어가 필리핀 주요 노선의 항공 운임 할인 프로모션을 실시한다. 이번 프로모션은 내년 1월 19일까지 진행되며, 탑승 기간은 내년 3월 28일까지다. 대상 노선은 인천~세부, 보홀, 클락과 부산~세부 4개 노선으로 최대 35% 할인을 제공한다. 할인 운임은 진에어 홈페이지 및 웹, 앱에서 해당 노선 예약 단계에서 프로모션 코드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적용되어 표출된다. 코드는 프로모션 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필리핀은 따뜻한 날씨 ..

-
‘여름성수기인데도 적자’ 창사 이래 처음최근 발표된 7월 내국인 해외출국객은 243만5291명으로, 전년 동월(264만2585명) 대비 2.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 8월 내국인 해외출국 통계가 발표되지 않았지만 8월 여행사 BSP실적이 전월대비 ?18%가 감소한 것으로 미뤄볼 때 200만 명 선에 그칠 것으로 보여 올 여름성수기 시장은 수치상으로도 크게 위축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7월까지 해외출국객은 2019년 동월 대비 92.2% 수준이며, 1~7월 누계출국객은 1700만 명으로 2019년 동기간 대비 9..

-
대한항공·아시아나 독주… LCC는 비용 부담에 적자폭 확대올 상반기 국제선 여객수는 4582만9686명으로 역대 상반기 최대치를 기록한 가운데, 항공업계는 FSC를 중심으로 성과를 거두며 시장을 주도했다. 특히 대한항공은 상반기 매출이 12조원을 넘어서며 전년 동기(8조6936억원) 대비 46%를 넘는 성장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지난해 상반기 대비 다소 감소했으나 순이익은 지난해 상반기 7656억원 대비 18.5% 증가한 9071억원을 달성했다. 아시아나항공은 2025년 상반기 매출 3조9614억원과 영..
-
국내 항공업계, 다양한 직군의 인재 적극 채용국내 항공업계가 올 상반기 적극적으로 운항 승무원과 객실 승무원, 정비사 등 다양한 직군에서의 인재를 채용했다. 에어포탈 자료에 따르면, 여객 수요 증가와 기단 확대 등에 대비하는 한편, 장기적으로는 항공산업 재편 흐름에 인재 확보에 나서며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복안이다. 잇따른 항공사고 이후 안전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정비 인력도 증원하는 추세다. 대한항공은 지난 5월 20일부터 항공기술·종합통제 등 직군에서 채용 연계형 하계 인턴을 모집했다. 오는 7∼8월 근무 후 별도 ..

-
세계가 주목한 최고의 공항 순위, 인천공항의 위상은?공항은 비행기를 타는 장소를 넘어, 국가의 얼굴이자 세계와 연결되는 첫관문이다. 각국은 자존심을 걸고 최첨단 인프라와 서비스 경쟁력을 앞세워 글로벌 허브 공항으로의 도약을 위해 치열하게 경쟁한다. 공항전경 ©인천국제공항공사 SKYTRAX의 World Airport Awards 발표에 따르면 2025년 세계 공항 순위는 아시아, 유럽, 중동을 중심으로 주요 허브들이 다시 한번 위상을 확인한 자리였다. 특히, 한국의 인천국제공항은 어떤 성적표를..

-
‘시니어 수요 증가’...마케팅 세팅 시급본지는 지난 호에서 항공업계 상반기 재무분석에 이어 공급 및 수요 현황과 항공업계 올해 전망에 대한 내용을 수록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 결합은 국내 항공업계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을 것이며, 미국을 제한 필수 신고 국가들은 승인이 끝나 연내 기업 결합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지속 가능한 항공연료로 인한 탄소중립의 중요성과 더불어 여행 트렌드 변화 등에 대한 다방면의 분석을 통해 항공업계의 미래 전망까지 알아본다.  ..

-
달러화강세, 고유가지속 등 상반기 1조원대 영업손익©유진투자증권 국내 항공업계가 코로나여파로 부터 벗어나면서 사실상 100%이상 회복되는 것 처럼 보이나, 실제 돈벌이는 기대이하로 나타났다. 상반기 국내 상장항공사들의 영업손익은 1조 3735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제반비용 부담 상승 등으로 17%가 감소했다. 코로나 이후 달러 강세와 고유가 지속 등의 비용부담이 크게 작용했다. 지난 상반기 국적항공사들의 재무상태를 분석해 봤다. <자료제공: 항공정보토털시스템> 20..

-
매출은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감소티메프사태가 상장여행사들의 영업이익을 갈아먹는가 하면 고유가와 고환율로 항공사들도 줄줄이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최근 발표된 공시자료에 따르면 대부분 여행사/항공사들의 2분기 실적이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은 크게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장여행사의 경우 티메프 입금지연 사태가 7월 중순 불거지면서 수십~수백억원의 판매대금을 받지 못해 이러한 영업손실이 고스란히 2분기 실적에 반영됐다...

-
전년동기 대비 4% 성장에 그쳐코로나 특수를 누렸던 지난해와 달리, 지난2 분기 BSP실적은 실제 여행경기를 고스란히 반영했다. 지난해 4월 이후 월 1000억대 발권을 이어갔던 하나투어와 인터파크트리플(이하 인팍)은 올 2분기 900억 원대 발권에 그치며 다소 부진한 실적을 보였다. 2분기 실적에 따르면 상위 50위권내 여행사들이 총 1조9048억 원을 발권, 지난해 2분기 1조8319억 원 대비 4%가량 증가했다. 지난 2분기는 여행업 전반에 걸쳐 여행수요가 크게 줄어든 반면 인센티브 수요가..

-
김포~하네다, 60년간 운항한 유일한 항공사일본 제1국적항공사인 일본항공(JAL)이 4월 15일 서울노선 운항 60돌을 맞이했다. 지난 1964년 4월 15일 서울(김포)~도쿄(하네다) 노선을 주3회 운항을 시작한 이래, 60년간 이 노선을 변함없이 운항한 유일한 항공사다. 이후, 일본항공은 1967년 한국인 승무원을 탑승시키는 등 본격적인 한일교류에 앞장서 나갔다. 1988년 88 서울올림픽때는 일본선수단을 우리나라로 수송했으며, 2001년 인천국제공항 개항과 더불..
- GTN 금주의 이슈
- 스폰서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