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Analysis > 특집 (1,305)
-
‘역대급 외부악재’ 불구 ‘힘찬 도약’ 꿈꾼다다사다난했던 2024년이 저물었습니다. 돌이켜보면 장기간 지속된 코로나 여파로부터 벗어나 본격적인 엔데믹이 시작되던 해였습니다. 2024년 새해를 맞이하는 업계 종사자들에게는 그 어느 해 보다도 시장회복에 따른 수익창출이 절실한 해였습니다. 하지만, 국제정세의 불안속에 고환율, 고금리, 고유가 등 이른바 3고 현상에 발목이 잡히면서 해외여행시장은 침체의 늪에서 허덕였습니다. 급기야 큐텐 발 티몬사태가 터지면서 여행시장은 또 한 차례..
-
여행사-하나투어, 항공사-대한항공, 외항사-싱가포르항공2024년에도 여행사는 하나투어, 국적항공사는 대한항공, 외국항공사는 싱가포르항공이 브랜드순위에서 각각 1위를 차지했다. 브랜드가치 평가회사인 브랜드스탁의 구랍20일 현재 항공사와 여행사의 브랜드 순위를 살펴보면 대한항공이 지난해보다 한단계 상승한 전체 9위를 차지했다. 하나투어..
-
코로나 이전으로 돌아왔다2024년 1~10월 내국인 해외출국객은 2358만명으로, 코로나 19 이전의 97% 수준으로 회복됐다. 2019년 동기간의 해외출국객은 2420만명이었다. 코로나 19 이전이었던 2019년을 기준으로 10월 누계치를 비교해보면, 지난 2023년은 1824만명으로 600만명 차이가 났지만 2024년은 ‘70만명’차이로 좁혀지면서, 겨울방학 및 연말 특수가 이어지는 11~12월 여행수요가 더해지면 코로나 이전 수치와 맞먹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관광 ..
-
R.O.U.T.E-‘나만의 차별화된 여행’2024년은 글로벌 정세 불안으로 인한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의 3고(高) 시대 상황에서도 온전히 자신에게 집중하고 감성적 만족감을 추구하는 여행 트렌드가 부각됐다. 여행자 개인의 취향에 따라 개성 있고 차별화된 여행을 추구한다는 의미의 ‘루트(R.O.U.T.E.)’가 2024년 한국 관광을 이끌 새로운 트렌드로 떠올랐다. 2024년 초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이하 공사)는 최근 3년간의 다양한 데이터를 종합 분석해 도출한 ‘2024 관광 트렌드’를 한국관광데이터랩에 발표했다. &nbs..
-
‘티메프’여파 하반기 하락세지난해 상반기 여행사의 주가는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다가 7월을 기점으로 급격한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엔화는 달러 대비 약세를 보이며 엔/달러 환율이 37년만에 161엔까지 오르며 6월 정점을 찍었다. 지속적인 엔저 현상으로 한국인들의 일본 관광이 급증하여 작년에는 최다 방문객수(2135만명)인 2018년의 기록을 넘어섰다. 근거리 해외여행 수요 증가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초부터 여행사의 주가는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티메프의..
-
‘메가캐리어’ 출범…LCC업계도 지각변동작년 한해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여객 수요의 폭발적인 성장과 화물 운임 안정화로 대형항공사(FSC)와 저비용항공사(LCC) 모두 전년 동기대비 매출액이 상승하며 전반적인 실적 개선을 보였다. 작년 11월 28일 유렵연합(EC)의 기업결합 최종 승인 이후 34년간 이어진 양강구도는 막을 내리며 새롭게 세계 10위권의 메가캐리어로 도약할 전망이다. 대한항공은 2만원 초반의 주가를..
-
2023년 대비 매출액 상승팬데믹의 긴 터널을 지나온 여행업계는 새로운 시작을 준비하며 희망을 품었으나, 고환율로 인한 여행비용 상승과 수익성 악화, 티메프 정산 지연 사태로 인한 수백억원의 피해, 더불어 지난해 12월에는 비상 계엄을 선포하여 정치적 상황으로 인한 불안정성이 가중되며 재도약의 길은 더욱 험난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 다른 희망을 품고 새로운 한해를 맞이하는 2025년, 올해를 기점으로 여행업계가 새로운 전환점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지난해 ..
-
청정 자연 속에서 즐기는 펀런(Fun Run)대회시작은 3월 8일 2차 얼리버드는 1월 31일까지 러너블과 MOU 체결 다양한 프로모션으로 ‘사이판 마라톤’ 본격 홍보 포토존 최근 국내에서 ‘헬시 플레저 (Healthy Pleasure)’ 트렌드가 확산됨에 따라 러닝이 메가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마라톤과 트레일 러닝을 즐기는 인구는 1,000만 명을 넘어섰으며, 주요 마라톤 대회 참가권을 둘러싼 경쟁은 ‘피켓팅’ 수준의 열기를..
-
사이판 마라톤 연계 차별화된 여행상품 개발크리스 컨셉시온 마리아나관광청 청장(왼쪽), 류영호 러너블 대표이사(오른쪽) MOU ©마리아나관광청 마리아나관광청은 지난 11일 러너블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2025 사이판 마라톤’의 홍보 마케팅을 통해 여행과 러닝을 결합한 차별화된 여행 상품을 개발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마리아나의 다채로운 매력과 아름다운 자연을 벗삼아 즐길 수 있는 사이판 마라톤을 러너블을 통해 국내 러너들..
-
BSP발권량, 지난해보다 1조 늘어코로나 팬데믹이후 하나투어와 인터파크트리플(이하 인팍)은 연중 월 1000억원대의 안정적인 발권량을 보이고 있다. 양사의 발권량은 전체 BSP 발권비중의 32%를 차지하는 등 여전히 BSP 실적을 견인하고 있다. 본지가 매월 단독 보도하고 있는 BSP(Billing and Settlement Plan; 항공여객 판매대금 정산제도)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총 발권액은 7조1300여억 원으로, 2023년 동기 6조 1600여억원보다 약 1조원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
-
TASF 거래금액 1천억대 육박여행업무취급수수료(이하 TASF·Travel Agent Service Fee)가 티메프사태와 지난달 비상계엄령 발동 등에도 불구, 전체 금액은 1000억원에 육박할 것으로 잠정집계됐다. 한국여행업협회(KATA)가 집계해 발표하고 있는 TASF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해외항공권 판매시 부과되는 TASF 건수는 약 320만건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1~11월까지 는 총 296만건이었으며, 월평균 27만건을 감안한 수치다. 지난해 거래 금액은 약 920억으로 1000억대..
-
LCC는 코로나 이전보다 늘었다2024년 우리나라 항공여객은 일본•동남아 지역의 수요 급증으로 코로나 팬데믹 이전인 2019년의98% 수준으로 회복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코로나19 비상사태 해제(2023년5월)이후, 세계 각국의 여행시장이 정상화되면서 2023년 하반기부터 국제선 여객은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잇다. 항공통계에 따르면, 2024년 1~11월 국제선 항공운항은 전년(37만편) 대비 28% 증가한 47만편을 기록했다. 국제선 항공여객은 전년(6137만명) 대비 32..
-
코로나 이전의 94% 수준2024년 상반기 항공여객(국내+국제선)이 5833만명을 기록하며, 2019년 상반기 6156만명에 이어 역대 상반기 중 두번째로 높은 실적을 기록했다. 국제선 여객은 4278만명으로 2019년 상반기 대비 93.9% 회복했고, 국내선 여객은 1555만명으로 97.2%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통계에 따르면, 2024년 국제선 여객은 하계기간(3월31일~10월26일) 운항 증편, 일본•동남아 등 중•단거리 노선 수요 증가, 국적 항공사 항공기 신규 도입 등의 영향으로 20..
-
미국> 중국> 인도> 일본> 스페인 순2024년 국가별 좌석공급량이 가장 많은 나라는 역시 ‘미국’, 우리나라는 19위를 차지했다. 항공정보 제공업체(OAG) 자료에 의하면, 2024년 글로벌 좌석공급량은 총 59억1142만3548석을 기록하여 전년 대비 6.4% 증가했다. 이는 2019년 대비 2.4% 증가한 수치이다. 2024년 국가별 좌석공급량은 미국이 전년 대비 4.1% 증가한 12억1342만9308석을 기록하여 1위를 차지하였다. 중국•인도•일본•스페인이 전년 대비 6% 넘는 증감률을 기록하며 그 뒤를 이었다. 우리나라는 OAG 기준 ..
-
‘LCC 약진’으로 여객실적 증가2024년 하반기인 7~11월 항공여객(국내+국제선)이 5120만명을 기록,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했다. 국제선 여객은 3805만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4% 증가했다. 특히 2024년 들어 지방공항의 활성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에 따르면, 2024년 1~11월 국내 지방 공항에서 국제선 항공편을 이용한 여객 수가 1700만명 가까운 것으로 집계됐다. 2024년 지방공항의 국제선 승객은 1683만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47.8% 증가했다. ..
- GTN 금주의 이슈
- 스폰서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