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Analysis > 통계 (1,305)
-
항공사, 신규노선 발굴 ‘박차’2023년 4월 국제선 여객은 지난 3월에 이어 베트남, 필리핀 등 아시아 지역의 해외여행 증가로 전년대비 643%가 증가, 738만9048명으로 나타났다. 3월중 가장 인기 있었던 국제노선(인천공항 출발 기준)은 1위 간사이(27만명), 2위 도쿄 나리타(26만명), 3위 방콕(23만명), 4위 후쿠오카(20만명), 5위 타이페이(대북/17만명)이었다. 지난 3월과 마찬가지로, 상위 5위권 국제노선 중 일본이 3개나 차지했고, 대만 타이페이가 5위권 ..
-
LCC, ‘영업이익 흑자’ 기대2023년 3월 국제선 여객은 베트남, 태국 등 아시아 지역의 해외여행 증가로 전년대비 1044%가 증가, 470만9779명으로 나타났다. 3월중 가장 인기 있었던 국제노선(인천공항 출발 기준)은 도쿄 나리타(29만명), 2위 간사이(27만명), 3위 방콕(24만명), 4위 후쿠오카(22만명), 5위 싱가폴(16만명)이었다. 지난 2월과 마찬가지로, 상위 5위권 국제노선 중 일본이 3개나 차지했고, 싱가폴이 5위권 안으로 진입했다. ..
-
국제선 여객, 1300% 증가2023년 2월 국제선 여객은 일본, 베트남, 태국 등 단거리 노선의 해외여행 증가로 전년대비 1318.2%가 증가, 455만5766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 팬데믹 이전인 2019년 동월(743만3725명)대비 38.8% 줄어든 수치다. 2월중 가장 인기 있었던 국제노선(인천공항 출발 기준)은 간사이(27만명), 2위 방콕(26만명), 3위 도쿄 나리타(25만명), 4위 후쿠오카(21만명), 5위 다낭(16만명)이었다. 상위 5위권 국제노선 중 일본이 3개나 차지..
-
코로나 극복까지는 ‘먼길’2023년 설 연휴 1일 평균 국제 여객은 국가별 코로나 규제 완화로 15만4041명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전히 2020년 대비 380% 감소, 코로나로부터 완전한 회복을 하지 못한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설 연휴기간 가장 인기 있는 노선은 일본(3만9251→4만6259명)으로, ’20년 대비 17.9% 증가했고, 그 뒤를 2위 베트남(3만3283→2만2310명), 3위 태국(1만6492→1만3079명) 순으로 나타났다. ..
-
‘해외여행 수요’ , 전년동기 12배 늘어[국민 해외관광객] 올 1월은 전년 동월(14만7434명) 대비 1108.9% 증가한 178만2313명 출국했다. [방한 외래관광객] 올 1월은 전년 동월(8만1851명) 대비 430.8% 증가한 43만4429명 입국했다. ▲중국 : 중국발 입국자 대상 방역 조치(’22.12.30) 불구 전년 동월 대비 162.9% 증가했다. 비자발급 제한, 코로나19 검사 강화, 항공편 제한, 검역정보 사전입력 의무화 등 영향으로 예상보다 여행객 증가세가 크지 않았다. ..
-
아태지역 항공사별 좌석수 주간순위
-
올해 태국아웃바운드 시장규모 , 2019년의 70~80% 수준 예상태국여행업협회(TTAA)는 올해 태국인 아웃바운드 시장 규모가 2019년 동기 대비 70~80% 수준인 약 800만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많은 국가들이 여행규제를 완화하고 항공노선도 본격 재개되고 있어, 올 2분기부터 태국인 아웃바운드 시장 회복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 태국 입국시 고가 휴대물품 검사 중단 태국 세관은 외국인 관광객들의 입국절차 편의 향상 및 부담 경감을 위해 입국시 개인 소지 고가품 검사 중단할 예정이다. 정부가 경제성장 견인을 위해 외국..
-
‘해외여행 수요’ 늘고 있지만, 2019년의 절반 수준코로나 팬데믹 기간동안 국내로 향하던 여행수요가 일본을 포함한 세계 각지로 향하고 있다. 이를 반증하듯, 2022년 11월 항공여객은 국내 여객은 감소했으나 국제 여객은 전년 동월 대비 62.8% 증가했다. 국제선 여객은 코로나19 감소세, 해외 입국자 자가 격리 면제, 입국 전 PCR 폐지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734.0% 증가한 308만 명을 운송했으나, 아직은 코로나 전인 2019년 동월(696만명) 대비 -55.8% 수준에 그쳤다. &..
-
23년1월15일] 세계 항공사별 좌석수 주간순위
-
‘여행시장 정상화’는 시동단계국민 해외관광객] 12월, 2022년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899.3%, 436.1% 증가한 139만3343명, 655만4031명이 출국했다. 방한 외래관광객] 2022년 12월은 전년 동월(9만150명) 대비 498.2% 증가한 53만9273명이 입국했다. ▲중국 : 중국 정부의 사실상 ‘위드코로나’ 정책으로 전환(’22.12.7) 및 우리 정부의 중국발 입국자 검역 강화 발표(’22.12.30)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134.1% 증가 ..
-
항공여객, 작년보다 700% 증가일본 무비자에 이어, 중국도 국경을 개방하면서 해외여행시장도 활기를 보이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작년 10월 항공여객(590만 명)은 국내 및 국제 여객이 동반 상승, 전년 동월 대비 63.9% 증가했다. 특히, 일본 무비자여행이 가능해지면서, 전월 대비 24.9% 늘었다. 이에 따라 국제선 여객(252만 명)은 전년 동월 대비 712.7%, 국내선 여객(337만 명)은 전년 동월 대비 2.6% 증가했다. 국토교통부의 최근 통계 ‘2022년 10월 우리나라 항공운송시장..
-
2021년은 "장롱 여권"꺼내는 여행호재 이어지길2020년 경자년. 여행업계에서는 생각하고 싶지도 않은 절망의 해였다. 전체 내국인 해외출국은 430만 명에 그쳐 1980년 339만 명, 1981년 436만 명이 출국하던 40년 전 시절로 돌아간 느낌마저 든다. 출국객 400만 여명 중 실제 여행객은 거의 ‘0’이나 마찬가지다. 내국인 출국을 비롯해 외래객 방한, 여행사 송객실적, 매출실적 등 왠만한 실적들은 모두 전년대비 -90%대를 넘나들었다. 코로나19의 여파가 시작된 지난해 3월 이후 12월까지 모든 업무가 마..
-
2020년 내국인 출국, 작년보다 85% 줄어‘통계치가 무색한 2020년의 여행업계’ 1989년 해외여행 자유화 이후 ‘유례없는 관광악재’인 코로나 19로 인해 2020년 국내 아웃바운드여행시장은 초토화됐다. 특히 2019년 하반기부터 일본 ? 중국과도 정치경제적인 이슈로 양국 교류가 뜸해지면서 단거리 해외여행시장이 타격을 입고 있었던 터라, 2020년 2월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코로나 19’는 고전을 겪고 있는 국내 여행업계에게는 ‘핵폭탄’급 여행악재..
-
2020년 방한 외래객, 1500만 명 감소‘30년 전보다 못한 인바운드 시장’ 매년 서울 명동거리를 가득 메웠던 외국인 관광객이 모두 사라졌다. 2020년 한국을 찾은 외국관광객은 2019년(1750만명) 보다 86% 감소한 250만 명(잠정치)을 밑돌 것으로 예상된다. 2020년 10월 누계 방한 외래객은 240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84 하락했다. 특히 코로나 19 영향력이 심화되는 3월부터 10월까지는 전년 보다 평균 97% 줄어, 전국 곳곳 한국 방문 외국관광객이 모두 사라진 셈이다. ..
-
"백신 개발" 기대감에 투자심리 개선구랍 15일 코스피 지수는 2756.82에 마쳤다. 연일 고공행진 속에 신기록을 쏟아내고 있는 코스피시장에서 여행·항공주도 선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적으로 백신개발에 대한 희망이 싹트면서 코로나19의 영향력에서 차차 벗어나고 있는 듯 한 분위기가 한몫하고 있다는 평가다. 코로나가 본격적으로 창궐하기 시작했던 3월부터 6월까지 주식시장 또한 침체국면이었지만 하반기부터 주식시장이 요동치고 있는 가운데 항공, 여행주도 덩달아 ..
- GTN 금주의 이슈
- 스폰서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