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Analysis > 통계 (1,305)

-
8월 국제여객, 4.5% 상승올 8월 항공여객(1121만명)은 내륙 노선 감소 및 남부지역의 폭우로 인해 국내선 실적이 감소했으나, 광복절 연휴 등으로 인해 국제여객이 증가하며 전년 동월 대비 4.5% 상승했다. 국제선 여객은 여름 방학 및 휴가철 성수기 이후 일시적 감소세를 보였으나, 광복절을 포함한 연휴 기간 근거리 해외여행 수요 증가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6.7% 증가한 849만명을 기록했다.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지역별로는 전반적으..

-
방한객, 전년대비 17% 늘어나[국민 해외관광객] 한국관광데이터랩에 따르면, 올해 8월 국민 해외관광객은 지난해 동월(235만9550명) 대비 2.7% 증가한 242만2218명이 출국했다. 이는 2019년 동기 대비 99.8% 수준으로 회복한 것이다. 올 1~8월 국민 해외관광객은 1942만명으로 2019년 동기간 대비 96.7% 수준이다. [방한 외래관광객] 올해 8월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관광객은 전년 동월(156만3221명) 대비 16.4% 증가한 182만199명이 ..

-
일본, ‘대지진 루머’로 타격올 7월 항공여객(1058만명)은 폭우 및 기상 악화로 국내선 실적이 감소했으나, 본격적인 여름휴가철을 맞아 아시아 중심의 단거리 여객 수요 증가로 전년 동월 대비 3.3% 상승했다. 국제선 여객은 여름 방학 및 휴가철 성수기에 따라 동남아 중심의 단거리 노선과 미주유럽 등 장거리 수요 가 모두 증가하면서 전년 동월 대비 4.1% 증가한 959만명을 기록했다.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지역별로는 일본(-1.1%)을 제외한..

-
해외출국, 전년동기대비 소폭 감소[국민 해외관광객] 한국관광데이터랩에 따르면, 올해 7월 국민 해외관광객은 지난해 동월(264만2585명) 대비 2.7% 감소한 243만5291명이 출국했다. 이는 2019년 동기 대비 92.2% 수준으로 회복한 것이다. 올 1~7월 국민 해외관광객은 1700만명으로 2019년 동기간 대비 96.3% 수준이다. [방한 외래관광객] 올해 7월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관광객은 전년 동월(140만8499명) 대비 23.1% 증가한 173만319..

-
‘대양주’만 고전…대부분 늘어올해 우리나라 상반기(1~6월) 항공 실적은 국내선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세를 보였지만, 국제선은 운항 편수 증가와 더불어 여객도 증가했다. 에어포탈 통계에 따르면, 올해 1~6월 국제선 운항편수는 26만4254편으로, 전년 동기 대비 5.6% 늘어났다. 국제선 여객도 7.1% 증가, 4582만9686명이 출국했다. 반면 상반기 국내선 운항 편수는 8만6394편으로, 전년 동기대비 7.3% 감소했다. 국내선 여객은 1406만1554명으로, 전년 동기보다 9.6%나 줄어들었다. ..

-
일본 · 중국, 여전히 강세올 6월 항공여객(1015만명)은 국내여객의 지속적인 감소에도 불구, 제21대 대통령 선거 임시공휴일에 따른 징검다리 연휴로 국제여객 수요가 증가, 전년 동월 대비 3.1% 상승했다. 국제선 여객은 중국과 일본지역의 여객 증가로 인해, 전년 동월 대비 5.5% 증가한 759만명을 기록했다. 중국 비자 면제에 따른 지방공항발 수요가 늘어났고, 일본 소도시 노선이 확장됐고, 이에 더해 정기 운항 증편에 따른 중단거리 노선도 증가했다. ..

-
방한 외국인, 2019년 수치 넘어[국민 해외관광객] 한국관광공사의 한국관광데이터랩에 따르면, 올해 6월 국민 해외관광객은 지난해 동월(221만9151명) 대비 0.3% 증가한 222만6396명이 출국했다. 이는 2019년 동기 대비 89.2% 수준으로 회복한 것이다. 올 1~6월 국민 해외관광객은 1456만명으로 2019년 동기간 대비 97% 수준이다. [방한 외래관광객] 올해 6월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관광객은 전년 동월(141만7274명) 대비 14.2% 증가한 161..

-
‘중단거리 노선’ 여행객 늘어올 5월 우리나라 국제선 여객(763만명)은 일본의 골든 위크, 중국의 노동절 연휴로 인한 여객수 급증, 지방공항발 중 · 단거리 아시아 노선의 신규 취항 및 증편으로 전년 동월 대비 7.7% 증가했다.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지역별로는 대양주(-11.2%) · 아시아(-0.5%) 지역을 제외한 중국(28.3%) · 일본(11.8%) · 미주(2.4%) 등의 지역 노선이 증가세를 보였다. 최근 일본 · 중국 등 근거리 지역의 선호도가 증가, 상..

-
1~5월 해외출국, 1200만명 넘어[국민 해외관광객] 한국관광공사의 한국관광데이터랩에 따르면, 올해 5월 국민 해외관광객은 지난해 동월(226만8310명) 대비 5.4% 증가한 239만1130명이 출국했다. 이는 2019년 동기 대비 99.6% 수준으로 회복한 것이다. 올 1~5월 국민 해외관광객은 1234만명으로 2019년 동기간 대비 98.6% 수준이다. [방한 외래관광객] 올해 5월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관광객은 전년 동월(141만8463명) 대비 14.9% 증가..

-
꾸준한 日·中여행수요... 전년대비 6% 늘어나올 4월 우리나라 국제선 여객(733만명)은 동남아 지역이 전통적인 비수기임에도 불구, 굳건한 일본 · 중국 여행 수요 회복세가 지속되고, 여기에 미주 · 유럽 등 장거리 노선의 안정적인 성장세로 전년 동월 대비 6.4% 증가했다. 에어포탈 자료에 따르면, 지역별로는 대양주(-12.7%) · 아시아(-3.0%) 지역을 제외한 중국(26.3%) · 미주(0.6%) · 일본(10.0%) 등의 지역 노선..

-
해외출국, 지난해와 비슷한 수치[국민 해외관광객] 한국관광공사의 한국관광데이터랩에 따르면, 2025년 4월 국민 해외관광객은 지난해 동월(211만957명) 대비 1.8% 증가한 214만9577명이 출국했다. 이는 2019년 동기 대비 95.7% 수준으로 회복한 것이다. 25년 1~4월 국민 해외관광객은 995만명으로 2019년 동기간 대비 98.4% 수준이다. [방한 외래관광객] 2025년 4월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관광객은 전년 동월(146만2797명) 대비 16.7%..
-
LCC, ‘샌프란시스코·시드니’ 장거리 실적 순항미국과 호주 유럽 등 장거리 노선에 도전한 국내 저비용항공사(LCC)들이 성과를 내고 있다. 단거리·소도시에 집중하던 LCC들이 가성비를 앞세워 대형항공사(FSC)와의 장거리·대도시 경쟁에서도 밀리지 않고 있다는 평가다. 항공포탈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17일 ‘인천-샌프란시스코’ 노선 취항 1주년을 맞은 에어프레미아는 약 8만9000여명의 여객을 수송하며 1년 만에 이 노선의 10.5%를 점유했다. 에어프레미아는 뉴욕, 바르셀로나 등 장거리 노선에도 비행기를 띄우고 있으며..

-
1분기 국제선여객, ‘역대 최다’올 3월 우리나라 국제선 여객(755만7838명)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으나, 고환율 여파로 증가율은 점차 낮아지고 있다. 3월 항공수요는 2019년과 비교하면 0.04%, 전년 대비는 5.7% 증가했다. 에어포탈 통계에 따르면, 2025년 3월 국제노선 여객운송 10위권 중 네 곳이 모두 일본지역이었다. 1~10위 순위는 △1위 : 인천-도쿄 나리타(43만2323명) △ 2위 : 인천-간사이(39만5930명) △3위 : 인천-후쿠오카(31만1556명) △4위 : 인천-홍콩(23만1..

-
1분기 방한객, 19년과 같은 수치[국민 해외관광객] 한국관광공사의 한국관광데이터랩에 따르면, 2025년 3월 국민 해외관광객은 지난해 동월(214만1992명) 대비 2.6% 증가한 219만7971명이 출국했다. 이는 2019년 동기 대비 94.2% 수준으로 회복한 것이다. 25년 1~3월 국민 해외관광객은 780만명으로 2019년 동기간 대비 99.1% 수준이다. [방한 외래관광객] 2025년 3월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관광객은 전년 동월(149만1596명) 대비 ..

-
‘여객기 참사’불구 13% 증가2025년 1월 우리나라 항공여객은 총 1047만768명으로, 이 중 국제선 여객은 총 820만9218명으로 집계됐다. 1월 ‘여객기 참사’로 ‘항공기 포비아’가 우려됐으나, 우리나라 설 연휴와 중국 춘절 및 무비자 입국정책 등으로 전년 대비 12. 8% 증가했다. 2019년과 비교하면, 2.3% 늘었다. 에어포탈 통계에 따르면, 2025년 1월 국제노선 여객운송 1~3위는 모두 일본지역으로, 전월과 동일했다. 1~10위 순위는 △1위 인천-도쿄 나리타(40만87..
- GTN 금주의 이슈
- 스폰서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