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Analysis > 통계 (1,305)
-
꾸준한 日·中여행수요... 전년대비 6% 늘어나올 4월 우리나라 국제선 여객(733만명)은 동남아 지역이 전통적인 비수기임에도 불구, 굳건한 일본 · 중국 여행 수요 회복세가 지속되고, 여기에 미주 · 유럽 등 장거리 노선의 안정적인 성장세로 전년 동월 대비 6.4% 증가했다. 에어포탈 자료에 따르면, 지역별로는 대양주(-12.7%) · 아시아(-3.0%) 지역을 제외한 중국(26.3%) · 미주(0.6%) · 일본(10.0%) 등의 지역 노선..
-
해외출국, 지난해와 비슷한 수치[국민 해외관광객] 한국관광공사의 한국관광데이터랩에 따르면, 2025년 4월 국민 해외관광객은 지난해 동월(211만957명) 대비 1.8% 증가한 214만9577명이 출국했다. 이는 2019년 동기 대비 95.7% 수준으로 회복한 것이다. 25년 1~4월 국민 해외관광객은 995만명으로 2019년 동기간 대비 98.4% 수준이다. [방한 외래관광객] 2025년 4월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관광객은 전년 동월(146만2797명) 대비 16.7%..
-
LCC, ‘샌프란시스코·시드니’ 장거리 실적 순항미국과 호주 유럽 등 장거리 노선에 도전한 국내 저비용항공사(LCC)들이 성과를 내고 있다. 단거리·소도시에 집중하던 LCC들이 가성비를 앞세워 대형항공사(FSC)와의 장거리·대도시 경쟁에서도 밀리지 않고 있다는 평가다. 항공포탈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17일 ‘인천-샌프란시스코’ 노선 취항 1주년을 맞은 에어프레미아는 약 8만9000여명의 여객을 수송하며 1년 만에 이 노선의 10.5%를 점유했다. 에어프레미아는 뉴욕, 바르셀로나 등 장거리 노선에도 비행기를 띄우고 있으며..
-
1분기 국제선여객, ‘역대 최다’올 3월 우리나라 국제선 여객(755만7838명)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으나, 고환율 여파로 증가율은 점차 낮아지고 있다. 3월 항공수요는 2019년과 비교하면 0.04%, 전년 대비는 5.7% 증가했다. 에어포탈 통계에 따르면, 2025년 3월 국제노선 여객운송 10위권 중 네 곳이 모두 일본지역이었다. 1~10위 순위는 △1위 : 인천-도쿄 나리타(43만2323명) △ 2위 : 인천-간사이(39만5930명) △3위 : 인천-후쿠오카(31만1556명) △4위 : 인천-홍콩(23만1..
-
1분기 방한객, 19년과 같은 수치[국민 해외관광객] 한국관광공사의 한국관광데이터랩에 따르면, 2025년 3월 국민 해외관광객은 지난해 동월(214만1992명) 대비 2.6% 증가한 219만7971명이 출국했다. 이는 2019년 동기 대비 94.2% 수준으로 회복한 것이다. 25년 1~3월 국민 해외관광객은 780만명으로 2019년 동기간 대비 99.1% 수준이다. [방한 외래관광객] 2025년 3월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관광객은 전년 동월(149만1596명) 대비 ..
-
‘여객기 참사’불구 13% 증가2025년 1월 우리나라 항공여객은 총 1047만768명으로, 이 중 국제선 여객은 총 820만9218명으로 집계됐다. 1월 ‘여객기 참사’로 ‘항공기 포비아’가 우려됐으나, 우리나라 설 연휴와 중국 춘절 및 무비자 입국정책 등으로 전년 대비 12. 8% 증가했다. 2019년과 비교하면, 2.3% 늘었다. 에어포탈 통계에 따르면, 2025년 1월 국제노선 여객운송 1~3위는 모두 일본지역으로, 전월과 동일했다. 1~10위 순위는 △1위 인천-도쿄 나리타(40만87..
-
항공기 ‘조류 충돌’, 6년만에 2배 증가항공사고의 원인으로 종종 지목되는 ‘조류 충돌(버드 스트라이크)’ 발생 건수가 최근 6년간 두 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후속 대책으로 조류 충돌 예방 인력을 충원하고 카메라와 레이더 등 조류 탐지 장비를 확충하는 방안을 내놓은 상태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항공기와 조류가 충돌해 발생한 사고는 지난 2017년 218건에서 2023년 433건으로 늘었다. 구체적으로는 2018년 287건, 2019년 351건, 2020년 217건, 2021년 354건, 2022년 358건으로 집계됐다. 발생 건수가 주춤..
-
해외출국, 2019년 수준으로 회복[국민 해외관광객] 2024년 12월 국민 해외관광객은 지난해 동월(241만5767명) 대비 12.4% 증가한 271만6138명이 출국했다. 이는 2019년 동기 대비 16% 증가한 것이다. 한국관광공사의 한국관광데이터랩에 따르면, 올해 1~12월 2869만명이 해외여행길에 나섰다. 이는 2019년 동기 대비 100% 수준으로 회복중이다. [방한 외래관광객] 2024년 12월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관광객은 전년 동월(103만6625명) ..
-
작년 국제여객은 9천명 육박국내 정치 불안에도 불구, 2024년 12월 우리나라 국제선 여객(810만명)은 일본•중국•베트남 등 주요 여행국의 안정적 수요가 유지되면서 전년 대비 16.5% 늘어났다. 2024년 한해 국제선 여객은 총 8893만명으로 팬데믹 이전(2019년 9036만명)의 약 98.4% 수준까지 회복됐다. 에어포탈 통계에 따르면, 2024년 12월 국제노선 여객운송 1~3위는 모두 일본지역으로, 전월과 동일했다. 1~10위 순위는 △1위 인천~도쿄 나리타(40만9844명) △..
-
방한외래객, 전년보다 20% 늘어[국민 해외관광객] 2024년 11월 국민 해외관광객은 지난해 동월(206만1646명) 대비 16% 증가한 239만1140명이 출국했다. 이는 2019년 동기 대비 14.4% 증가한 것이다. 한국관광공사의 한국관광데이터랩에 따르면, 올해 1~11월 2597만명이 해외여행길에 나섰으며, 이는 2019년 동기 대비 98% 수준으로 회복중이다. [방한 외래관광객] 2024년 11월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관광객은 전년 동월(111만4990명)..
-
대한항공 23위...아시아나는 33위
-
‘단거리 노선 증가’로 탄력받아2024년 11월 동계기간 국제선 여객은 743만4041명으로, 전년 대비 18% 증가했다. 지방공항별 일본•동남아 등 단거리 노선 증가와 김해~발리 등 신규 취항 영향이 컸다. 코로나 팬데믹 이전이었던 2019년 동월은 총 696만4045명이 국제선을 이용했다. 에어포탈 통계에 따르면, 2024년 11월 국제노선 여객운송 1~8위 순위는 전월과 동일했다. 1위 인천~도쿄 나리타(41.8만명), 2위 인천~간사이(40만명), 3위 인천~후쿠오카(29.6만명), ..
-
한국방문객, 전년보다 30% 증가[국민 해외관광객] 2024년 10월 국민 해외관광객은 지난해 동월(204만2703명) 대비 16.6% 증가한 238만2464명이 출국했다. 이는 2019년 동기 대비 10.6% 증가한 것이다. 한국관광공사의 한국관광데이터랩에 따르면, 올해 1~10월 2358만명이 해외여행길에 나섰으며, 이는 2019년 동기 대비 97% 수준으로 회복중이다. [방한 외래관광객] 2024년 10월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관광객은 전년 동월(122만9899명) 대비 30.1% 증가한 1..
-
24년10월넷째주] 아태지역 항공사별 좌석수 주간순위
-
일본노선, ‘역대 최대 실적’2024년 10월 일본 노선의 여객 실적은 225만명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지난해 10월 국제선 여객 이용자는 775만명으로, 전년 동월(659만명) 대비 17.6% 증가했다. 이는 2019년 동월(735만명)대비 5.5% 늘어난 수치다. 일본노선의 실적 상승과 함께, 미주•동남아 노선도 신규 취항과 증편이 잇따르면서 코로나 이전의 여객을 추월했다. 에어포탈 통계에 따르면, 2024년 10월 국제노선 여객운송 1~6위, 8위 순위는 전월..
- GTN 금주의 이슈
- 스폰서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