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여행신문 로고

HOME > Analysis > 통계

LCC, ‘샌프란시스코·시드니’ 장거리 실적 순항

에어프레미아, 샌프란시스코 점유율 10.5%

  • 게시됨 : 2025-06-12 오후 5:08:57
  • 트위터 공유버튼 페이스북 공유버튼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공유버튼

미국과 호주 유럽 등 장거리 노선에 도전한 국내 저비용항공사(LCC)들이 성과를 내고 있다.

 

단거리·소도시에 집중하던 LCC들이 가성비를 앞세워 대형항공사(FSC)와의 장거리·대도시 경쟁에서도 밀리지 않고 있다는 평가다.

 

항공포탈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17일 ‘인천-샌프란시스코’ 노선 취항 1주년을 맞은 에어프레미아는 약 8만9000여명의 여객을 수송하며 1년 만에 이 노선의 10.5%를 점유했다. 에어프레미아는 뉴욕, 바르셀로나 등 장거리 노선에도 비행기를 띄우고 있으며 7월엔 하와이 노선도 처음 취항한다.

 

2022년 12월 ‘인천-시드니’ 노선을 시작한 티웨이항공은 2년간 21만5000여명을 실어 날랐다. 탑승률은 평균 90%로, 다른 노선보다 높다. 파리 등 유럽 5개 노선을 운항하는 티웨이항공은 7월엔 캐나다 밴쿠버에도 비행기를 띄운다. 창사 후 첫 북미 진출이다.

 

제주항공은 지난해 10월 말 취항한 ‘인천-발리’ 노선에서 4만8000여명의 여객을 수송했다. 이 덕분에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독점하던 인천-발리 노선의 지난해 여객은 43만 7396명으로 1년 전(29만4088명)보다 49% 많아졌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약 7시간 소요되는 발리 노선은 평균 탑승률 70%대 중반으로 인기 노선이 됐다.”라고 밝혔다.

 

LCC의 중장거리 노선 성공 비결은 프리미엄 작업에 따른 차별화로 분석된다. 20여 년간 일본과 동남아시아 등 단거리 노선을 공격적으로 띄우며 가성비의 대명사로 자리매김한 LCC들이 중 장거리 노선에선 가성비와 함께 프리미엄으로 차별화에 나섰는데 이게 효과를 내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달 발리 왕복 항공권의 경우 제주항공은 76만원 중반으로 대한항공(106만원)보다 30% 저렴 하다. 일반석은 이처럼 싸게 내놓으면서도 프리미엄 이코노미석을 도입해 FSC의 이코노미석 수요를 일부 흡수했다. 에어프레미아의 프리미엄 이코노미석 간격은 107~120㎝로, 아시아나 항공 이코노미석 간격(83~86㎝)보다 넓다.

 

하지만, 과제는 남아있다. 대부분 LCC는 장거리 노선 운행이 가능한 중대형 항공기 보유 대수가 적어 지연이 잦다. 코로나19 이후 항공기 인도가 늦어지고 있는 만큼 이 문제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경쟁이 치열해지고 고환율이 지속되면서 수익성이 악화하고 있는 것도 큰 숙제다.

 

<출처=에어포탈>

 

GTN 금주의 이슈
광고
AD
많이 본 기사
뉴욕공항, 한국학단 60명 입국거절
"반짝 스타"로 시작했다가 "여행업계 문제아"된 NHN여행박사
"대적할 자가 없다" 하나투어 독주
여행앱 이용 빈도, OTA-패키지간 큰 격차
여행테크기업 대표가 문관부 장관 발탁
1~5월 해외출국, 1200만명 넘어
국내 항공업계, 다양한 직군의 인재 적극 채용
모두투어, 코스닥상장 20주년---비전 공유
스타드림 크루즈, ‘난타’ 선상 공연 선봬
괌으로 여행 가면 "아동 항공권" 무료
이번호 주요기사
넥스트페이퍼, 괌관광청 한국사무소로 재선정
모두투어, 코스닥상장 20주년---비전 공유
괌으로 여행 가면 "아동 항공권" 무료
서울관광재단 길기연 대표 재연임
인터컨티넨탈 벳푸·인디고 가루이자와… 아시아 어워드 다관왕 수상
미국관광청, ‘메가팸 리유니언’ 성황리 성료
미국관광청, 세일즈 미션 통해 25개 현지 파트너사 방한
뉴스레터 신청하기

GTN 주요 뉴스를 메일로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