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월, ‘GS홈쇼핑’ 콜수 높아여행사는 ‘토요일 밤’·시청자는 ‘일요일 저녁’ 선호결제율 1등… 지역 남태·여행사 롯데관광 3월 한 달간 주요 홈쇼핑 채널에서 방송된 81개의 여행상품을 살펴본 결과, GS홈쇼핑이 17개의 상품으로 회당 평균 2468콜을 기록해 홈쇼핑채널 중 가장 높은 콜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방송 상품은 조사 대상에서 제외됐고, 금요일 오후부터 일요일 오후까지 방송된 주말 상품 성적만 집계했다. GS홈쇼핑에..
-
여행은 티몬에서 ‘원스톱’으로 해결모바일 쇼핑업체 티몬이 항공권과 숙박, 관광지 및 교통 이용권 등을 모두 국내 최저가 수준으로 판매하는 ‘원스톱 여행채널’을 구축했다. 여러 사이트를 돌아다닐 필요 없이 한 번에 여행 관련 모든 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돼 소비자들에게 각광받고 있다. 먼저 항공권 부문에서 국내는 제주도닷컴, 해외 항공권은 탑항공과 제휴해 실시간 예매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국내 항공권의 경우 제주항공, 티웨이 등 LCC뿐 아니라 아시아나항공 등 대형항공사 티켓까지 핫딜 형태로 매일 판매돼, 편도 기준 1~..
-
[영남권 지역 분석] 업황 안 타는 영남권… 5월부터 대박 조짐수익 나는 단독노선 증가… 김해발 국제선 32개홍콩·마카오·다낭 인기… 상품 다양화로 전성기 영남권 여행시장이 질과 양적으로 긍정적인 팽창에 성공하면서, 업황 부진에 역행하고 있다. 올해 5월부터 시작될 황금 연휴부터 영남권 인아웃바운드 시장에 긍정적인 기류가 포착되고 있다. 특히 항공 노선과 좌석이 다양하게 꾸준히 증가하면서 상품 세팅에도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영남권 여행시장이 부진에 늪에 빠진 여행시장 ..
-
[영남권 출발 상품분석] 일본 선박 상품 50만원대까지 가격대 다양코비·카멜리아 등 기호따라 상품선택 가능 출발 날짜·일정 비슷… 호텔서 차별화 전략 부산 토종 여행사들이 도태되면서 부산 출발 상품은 하나투어를 비롯한 패키지 여행사에서 만나볼 수 있다. 특히 지방 출발 상품을 취급하지 않는 여행사라도 별도 카테고리를 구성해 부산 출발 상품을 공격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강세희 기자> ksh@gtn.co.kr 부산 여행시장이 호황을 누리고 있는 가운데, 주요 여행사 역시 부산..
-
[영남권 항공 분석] 김해공항 여객 성장세… 주요 공항 중 ‘1위’김해공항의 여객 성장세가 전국 주요 공항 가운데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난 1월 공항별 국제선 여객실적에서 김해공항은 전년 동월대비 38.4% 증가한 실적을 기록했다. 김해공항은 일본, 중국, 대만 중심의 신규 노선 확대와 운항증대로 출·도착 운항이 1000편 이상 증가하며 여객이 성장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부산시는 여객 증가세가 지속돼 김해공항 연간 이용객이 1500만 명에 가까울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이미 지난해 김해공항은 연간 여객이 1..
-
[영남권 규모 분석] 2월 공항 출국자 10명 중 3명 ‘김해공항’ 이용김해국제공항은 우리나라 공항 중 인천국제공항에 이어 항공사들의 국제선 진출이 활발한 곳이다. 현재 장거리 노선은 개설되지 않았지만, 저비용항공사(LCC)를 필두로 외국계 항공사들까지 김해 발 노선을 개설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김해국제공항은 과거 ‘부산국제공항’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었을 만큼 부산에 위치해 있다는 인식이 강하지만, 경상남도, 경상북도, 울산광역시, 대구광역시 등 영남권 주민들의 이용 역시 활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
[영남권 BSP 분석] 영남권 ‘맑음’… 부산 파라다이스 티앤엘 급부상영남권 발권 금액 총 669억원Top 20 中 토종여행사 모두 성장세 지난 2월 영남권 여행사들의 BSP 발권 실적을 분석한 결과 이들의 발권 금액은 총 669억 원이었다. 이중 주요 여행사 대리점은 398억 원, 지방 여행사는 271억 원을 각각 발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남권에서는 하나투어 부산지점이 총 92억 원을 발권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2위는 모두투어 네트워크 부산지점, 3위는 하나투어 대구지점으로 각각 52억 원과 22억 원을 발권했다. 여행박..
- 1
- GTN 금주의 이슈
- 스폰서 링크